제22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2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으로, 1953년 한국 전쟁 이후 창설되어 1958년 해체되었다가 1975년 재창설되었다. 강원도 고성군 일대에서 28km의 내륙과 69km의 해안선을 포함한 97km의 국경선을 담당하며, 비무장 지대와 해안 경계를 모두 수행하는 유일한 부대이다. 금강산 출입국 관련 임무도 수행하며, 잦은 사건 사고로 인해 '별들의 무덤'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소재의 관공서 - 강원특별자치도고성교육지원청
강원특별자치도고성교육지원청은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내 초·중등 교육 지원을 담당하는 교육 행정 기관으로, 관할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운영 및 교육 관련 행정 업무를 수행한다.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소재의 관공서 - 고성경찰서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경찰서는 고성군 전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며, 간성지구대, 거진지구대, 현내파출소, 토성파출소를 비롯한 파출소와 치안센터를 운영한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1958년 해체된 단체 - 제500군사정보여단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창설되어 극동사령부 예하 한국 전쟁 참전 부대 지원으로 시작, 냉전 시대 소련 및 공산권 정보 수집 및 분석을 거쳐 현재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지원과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정보 부대이다. - 1953년 설립된 단체 - 제26기계화보병사단
제26기계화보병사단은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과 사단포병여단을 주축으로 다양한 지원부대가 배속된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으로, 대한민국 국방력의 핵심 전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1953년 설립된 단체 -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는 한국 정치와 대의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학술단체로서, 학술 연구, 학술지 발간, 연구 발표회 개최, 국내외 교류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대의민주주의 제도 개선과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연구, 진보 정당 정책 연구, 정치 현안 분석 및 정책 결정 근거 제시 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제22보병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율곡부대 (栗谷部隊) |
표어 | 수사불패 율곡지혼 (雖死不敗 栗谷之魂) |
군가 | 22사단가 |
활동 기간 | |
창설 | 1953년 4월 21일 |
해체 | 1958년 12월 24일 |
재창설 | 1970년 4월 21일 ~ 현재 |
국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병과 | 보병 |
역할 | 동해안 및 GOP 경계 |
규모 | 사단 |
명령 체계 | 제3군단 |
주둔지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
지휘관 | |
현재 사단장 | 소장 윤봉희 |
참전 | |
전투 | 한국 전쟁 |
수훈 | |
훈장 | 대통령 부대 표창 9회, 국무총리 표창 2회 |
영문 명칭 | |
영문 명칭 | The 22nd Infantry Division |
2. 역사
제22보병사단은 한국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3년 4월 21일 강원도 양양군에서 제25보병사단과 함께 창설되었다.[2] 이후 1958년 12월 24일 해체되었다.
1975년 8월 1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강원도의 국경선을 강화하기 위해 제88보병여단으로 재창설되었다. 7년 후, 부대는 "제22보병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22보병사단은 책임 구역이 넓고 국경선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인해 많은 사단장이 문책을 받아, 장병들에게 "별들의 무덤"으로 여겨진다.[3]
2. 1. 창설과 해체 (1953년 ~ 1958년)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에서 1953년 4월 21일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이 부대기를 직접 수여하며 육군 본부 직할대로 창설되었고, 한국전쟁 말기에 활약하였다.[2] 이후 육군 감축계획에 따라 1958년 12월 24일 해체되었다.[2] 제22보병사단은 제25보병사단과 함께 창설되었다.2. 2. 재창설과 현재 (1975년 ~ 현재)
1975년 8월 1일, 강원도 고성군에서 강원도의 국경선을 강화하기 위해 제88보병여단으로 재창설되었다.[3] 같은 해, 제88보병여단은 동해안경비사령부(현재 제7기동군단) 예하 제56보병연대와 통합되었고, 제1해안전투단으로 재편성된 동해안방어사령부와 다시 통폐합 및 증편되었다. 7년 후인 1982년 8월 16일, 원래 명칭인 "제22보병사단"으로 변경되었다.[2]제22보병사단은 남·북 동해선 교통행 및 교류를 군사적으로 보장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현재까지 주둔하고 있다. 2021년 연말에는 인근 제23보병사단으로부터 일부 해안경계 대대를 넘겨받았다.[9]
제22보병사단은 28km의 내륙과 69km의 해안선을 포함하여 97km의 국경선을 담당하고 있다.[3] 이곳은 대한민국 육군에서 비무장 지대와 해안 경비를 모두 담당하는 유일한 부대이다.[3] 또한, 부대는 국경 근처에 많은 등산로가 있는 금강산에서 출입국 관련 임무도 수행한다.[3]
3. 부대 구조
제22보병사단의 부대 구조는 크게 사령부, 직할대, 그리고 예하 여단으로 구성된다.
사령부 및 직할 부대는 다음과 같다.[4]
예하 여단은 다음과 같다.
3. 1. 사단 본부
사단 본부는 사령부와 여러 직할 부대로 구성된다.[4] 사단 본부를 지원하는 부대로 본부근무대가 있다.사령부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4]
3. 2. 작전 부대
- 제53보병여단 "북진"
- 여단본부
- 제1대대 (동호리)
- 제2대대 (탑동)
- 제3대대 (기사문) : 해안 경계 임무
- 제4대대[10] "비사" : 해안 경계 임무
- 군수지원대대
- 제55보병여단 "쌍호"
- 여단본부
- 제1대대 "백호" (어천리)
- 제2대대 "비호" (장신리)
- 제3대대 "맹호" (건봉산)
- 군수지원대대
- 제56보병여단 "금강산"
- 여단본부
- 제1대대 (동호리)
- 제2대대 (석문리)
- 제3대대 "전방" : GOP 및 해안 경계 임무
- 군수지원대대
- 포병여단
- 여단본부
- 제278포병대대
- 제279포병대대
- 제280포병대대
- 제639포병대대
3. 3. 직할 부대
4. 임무 및 역할
제22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에서 유일하게 비무장 지대와 해안 경비를 모두 담당하는 부대로, 28km의 내륙과 69km의 해안선을 포함하여 총 97km의 국경선을 담당하고 있다.[3] 또한 금강산의 출입국 관련 임무도 수행한다.[3]
5. 사건·사고
- 1984년 6월 26일 - 22사단 소속 조준희 일병이 총기를 난사하고 월북했다. 이로 인하여 사단장 장기하 소장(육사 14기)이 '''보직해임''' 당했으며 소장으로 예편한 후 (주) 청보식품 회장이 되었다.[3]
- 1998년 12월 5일 - 22사단 소속 강창원 상병이 90mm 무반동총 불발탄을 습득 후 몰래 보관하고 있다가 병사 휴게실에서 탄피를 분리하던 도중 폭발했다. 이 사고로 강창원 상병을 포함한 병사 3명이 그 자리에서 즉사했으며 병사 5명이 중상을 입었다. 이로 인하여 사단장 류선준 소장(육사 27기)이 문책 및 엄중 경고를 당했다.[3]
- 2005년 4월 13일 - 당시 57세였던 황홍련 선장이 술에 만취한 채로 자신의 어선 황만호를 조타해서 월북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하여 사단장 임치규 소장(육사 31기)이 문책을 당했다.[3]
- 2009년 10월 26일 - 제22보병사단에서 복무한 강동림 예비역 병장이 제22보병사단이 담당하는 철책을 와이어 커터로 절단하고 월북했다. 이로 인하여 사단장 이양구 소장(육사 35기)이 '''보직해임''' 당했다.[3]
- 2012년 10월 2일 - 22사단 관할구역에서 북한군이 철책을 넘고 노크하여 귀순하였다. 그 동안 해당 부대에서는 그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이로 인하여 사단장 조성직 소장(육사 38기)이 '''보직해임''' 당했다.[3]
- 2014년 6월 21일 - 20시 15분에 임도빈 병장이 총기를 난사하여 5명이 숨지고 7명이 부상당했다. 이후 임도빈 병장은 탈영한 후 교전 과정에서 1명이 더 부상 당했다. 이 사건으로 22사단장 서상국 소장(육사 40기)을 비롯하여 연대장, 대대장, 중대장이 '''보직해임''' 및 징계위원회 회부 처분을 받았다. 소대장으로 있다가 감시장비 분실 사유로 보직해임 되었던 소대장 역시 추가 징계 및 구속 수감 되었다. 서상국 소장은 제22보병사단장에서 보직해임 당한 이후 한직인 육군훈련소장으로 좌천한 후 임기를 채운 뒤 다시 교육사령부로 재좌천한 이후 소장으로 예편했다.[3]
- 2020년 11월 3일 - 북한의 신원미상 남성이 헤엄쳐 귀순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이후 이 사건에 대한 수사를 하는 기간인 2022년 2월 16일 민통선 내부에서 민간인이 발견되었다. 이로 인하여 사단장 표창수 소장(육사 47기)이 '''보직해임'''되었으며,[12] 결국 표창수 소장은 제2신속대응사단장을 한 번 더 역임하고 난 이후 대한민국 국군 장성급 장교 보직 중 가장 한직인 육군보병학교장[13]으로 좌천당했다. 표창수 소장은 제2신속대응사단장으로 재직할 당시 그의 직속상관인 제7기동군단장이 타 출신 동기인 고현석 중장(학군 29기)이었으며, 표창수 소장이 육군보병학교장이 되기 직전, 표창수 소장과 동기인 손식 육군특수전사령관(육사 47기)이 대장에 진급했다.[3]
- 2022년 1월 1일 - 탈북자가 제22보병사단 관할구역을 통해서 재월북했다. 이로 인하여 사단장 이승오 소장(육사 49기)이 징계위원회에 회부되었으나 취임한 지 불과 2주일 만에 발생한 일이라 지휘 책임을 묻기 어려워서 주의로 끝났으며 이후 이승오 소장은 제22보병사단장 임기를 만기 퇴임한 이후 요직인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으로 영전했다. 그 대신 바로 직전 사단장이자 사건 당시 제22보병사단장의 직속상관인 제8군단장 여운태 중장(육사 45기)이 육군참모차장으로 좌천한 후 다시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재좌천 후 2023년 7월 중장으로 예편했다.[3]
6. 평가 및 논란
제22보병사단은 다른 사단에 비해 사건·사고가 많이 발생하여 '''별들의 무덤'''이라는 불명예스러운 별칭으로 불린다. 다음은 제22보병사단에서 발생한 주요 사건·사고 목록이다.
발생일 | 사건·사고 내용 | 사단장 조치 |
---|---|---|
1984년 6월 26일 | 조준희 일병 총기 난사 및 월북 사건[3] | 장기하 소장(육사 14기) 보직해임 |
1998년 12월 5일 | 강창원 상병 무반동총 불발탄 폭발 사고 (병사 3명 즉사, 5명 중상)[3] | 류선준 소장(육사 27기) 문책 및 엄중 경고 |
2005년 4월 13일 | 황홍련 선장, 어선 황만호를 이용해 월북[3] | 임치규 소장(육사 31기) 문책 |
2009년 10월 26일 | 강동림 예비역 병장, 철책 절단 후 월북[3] | 이양구 소장(육사 35기) 보직해임 |
2012년 10월 2일 | 북한군 병사 노크 귀순 사건[3] | 조성직 소장(육사 38기) 보직해임 |
2014년 6월 21일 | 임도빈 병장 총기 난사 사건 (5명 사망, 7명 부상)[3] | 서상국 소장(육사 40기) 등 지휘관 보직해임 및 징계 |
2020년 11월 3일 ~ 2022년 2월 16일 | 북한 남성 헤엄 귀순 및 민간인 발견 사건[3][12] | 표창수 소장(육사 47기) 보직해임 |
2022년 1월 1일 | 탈북자 재월북 사건[3] | 이승오 소장(육사 49기) 징계위원회 회부 (주의) |
제22보병사단은 대한민국 육군에서 비무장 지대와 해안 경계를 모두 담당하는 유일한 부대이며, 금강산 출입국 관련 임무도 수행한다.[3] 이러한 임무의 특성상, 경계 실패는 곧바로 심각한 안보 문제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제22보병사단을 향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7. 사단가
대륙 땅 주름잡던 우리 겨레
힘찬 기상 이어받은 율곡 부대
민족의 통일 대업 가슴에 안고
전진의 깃발 아래 뭉친 너와 나
전선의 최북단 이 땅을 지키고
내 부모 내 형제 내 조국 위해
적진을 쳐부순다 멸공통일 그 날까지
아아아 우리들은 대한의 건아
승리 향해 전진하는 22사단
참조
[1]
웹사이트
22nd Infantry Division
https://www.mma.go.k[...]
Republic of Korea Army
[2]
웹사이트
사단창설기념비 [육군제22보병사단]
http://yangyang.or.k[...]
Yangyang County Cultural Center
2015-04-27
[3]
웹사이트
'Grave of the Stars' 22nd Division, will it be okay if it is moved to the 3rd Corps?
https://m.hankookilb[...]
The Korea Times
2023-08-17
[4]
웹사이트
2019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군부대) 운영단체-교육시설 목록
https://www.mcst.go.[...]
Republic of Korea Army (ROKA)
2023-06-21
[5]
웹사이트
22사단 귀순 북한군, 우리 군 임무교대 알고 있었나?
https://www.newdaily[...]
NewDaily
2012-10-12
[6]
웹사이트
해안경계작전 중 익수자 구한 22사단 장병들
http://www.kado.net/[...]
Gangwondomin Ilbo
2021-07-01
[7]
웹사이트
최전방 수호하는 22사 율곡왕포대대, K55A1 자주포부대로 개편
https://www.econovil[...]
www.econovill.com
2018-05-09
[8]
뉴스
육군 22사단 장병, 화재 진압·자살 시도자 구조
http://www.yonhapnew[...]
2015-01-13
[9]
뉴스
軍 "동해안 경계 인력 보강... AI 경계시스템 구축"
https://news.kbs.co.[...]
2021-03-09
[10]
문서
2021년 11월 30일 해체된 [[제23보병사단 (대한민국)|제23보병사단]]의 제58보병여단 제2대대 (또는 제1대대 "비호"
[11]
문서
기존 정비대대, 보급수송대대의 통합 (각 연대가 여단으로 개편되면서 여단에 자체 수송대를 확대 개편한 군수지원대대가 편성되었는데, 이때 사단 정비대대, 보급수송대대의 전력 일부가 각 여단 군수지원대대로 이전되었다.
[12]
뉴스
군 '헤엄귀순' 문책…22사단장 보직해임·8군단장 엄중경고(종합)
https://n.news.naver[...]
2021-03-09
[13]
문서
중장에 절대로 진급할 수 없는 소장들로만 보직되는 전역대기직이다. 2000년 1월 1일 이래로 현재까지 육군보병학교장이 중장으로 진급한 사례는 단 한 건도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